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논문집 투고 규정

 

 

1. (투고 자격) 본 학회 회원이나 초청 인사가 제출한 논문이나 자료를 게재함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외부 인사의 논문을 게재할 수 있다.

2. (투고 내용) 중복장애, 지체장애, 건강장애 교육에 관계되는 논문, 종설, 자료 등을 게재하되, 다른 학술지나 정기 간행물에 발표한 것을 제외한다.

3. (원고 분량) A4용지 15쪽 내외를 원칙으로 하고, 외국어 원고의 경우도 이에 준하되, 한글 초록을 첨부한다.

4. (원고 작성 및 제출) 논문의 형식은 본 학회의 원고작성법에 따른다. 또한 원고는 워드프로세서 “아래한글” 또는 “MS워드”를 사용하여 작성한 파일을 제출한다. 원고와 함께 KCI 문헌 유사도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 확인서를 제출한다. 이 때 유사율 기준(5어절), 인용문장(포함), 출처표시문장(포함), 목차/참고문헌(제외)의 기준을 적용하여 유사율이 10% 이내가 되어야 한다. 단, 전문 용어, 상용적인 문구의 사용 등에 따라 유사도가 10%를 초과할 경우 소견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5. (게재 결정) 논문의 게재는 편집위원회가 위촉한 3인 이상 전문학자의 심사를 거쳐 게재함을 원칙으로 한다.

6. (투고료 및 게재료) 논문의 투고료는 한국어 논문 10만원, 영어 논문 13만원, 게재료는 기본 20만원(15쪽 기준, 초과 시 한 장당 2만원의 과금 적용)을 지불하여야 한다. 연구비 수혜 논문의 경우 10만원의 게재료가 추가된다. 게재되는 논문은 필자의 희망에 따라 별쇄본 20부를 증정할 수 있다.

7. (투고 마감 및 발행) 투고 마감은 매년 3, 6, 9, 12월 5일로 하고, 발행은 매년 1, 4, 7, 10월 20일자로 하며 연 4회 발간한다.

8. (저작․전송권 절차 및 권한명세)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 활용 동의 절차 및 권한에 관한 사항의 학회 위임을 위하여 저자(들)는 저작․전송권 확인서를 논문과 함께 제출하여야 하며, 학회에서 발간되는 학술지 논문에 대한 저작권 및 전송권은 본 학회에 귀속한다.

9. (저자정보 표기) 온라인 논문투고와 게재 논문에 모든 저자의 소속 및 직위를 모두 표기한다. 소속 및 직위의 표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상

표시할 사항

대학 소속

대학 소속 교수(전임/비전임)

성명/ 00대학/ 교수(교수, 조교수, 부교수 등)

대학 소속 강사

성명/ 00대학/ 강사

대학 소속 학생

성명/ 00대학/ 학생(석사과정, 박사과정 등)

대학 소속 박사후 연구원

성명/ 00대학/ 박사후 연구원

초중등 학교소속

초중등학교 소속 교사

성명/ 00학교/ 교사

초중등학교 소속 학생

성명/ 00학교/ 학생

기타

소속/직위가 없는 경우

성명

 

10. (기 타) 교정은 연구자가 행함을 원칙으로 하고, 논제와 성명은 한글과 외국어 두 가지로 작성한다.

11.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협의에 의하여 결정한다.

 

 

제출방법

1) 논문 작성 시「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논문 작성양식에 맞추어 제출하여야 한다.

2) 한글 2002 이상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여 학회(kcpmd.jams.or.kr)로 제출하고, 필요한 경우 제출된 논문의 내용에 대한 수정․보완을 논문 제출자와 협의할 수 있다.

3) ‘논문 게재 신청서’는 학회 이메일(kcpmd@hanmail.net)로 제출하고, 논문투고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4) 원고 게재가 확정된 후에는 윤리준수 동의서(학회 양식)를 제출한다.

 

논문 투고료 및 게재료

1) 논문 투고료 : 한국어 논문은 10만원, 영어 논문은 13만원을 납부한다.

2) 게재료 : 게재 확정시 일반논문의 경우 20만원을, 연구비 수혜 논문의 경우 30만원을 납부한다. 15쪽을 초과한 경우 초과 쪽당 2만원을 추가 납부한다.

 

 

부칙 제1호

1. 본 규정은 1995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2호

1. 본 규정은 2003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3호

1. 본 규정은 2004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4호

1. 본 규정은 2004년 10월 9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5호

1. 본 규정은 2005년 5월 7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6호

1. 본 규정은 2005년 2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7호

1. 본 규정은 2007년 2월 26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8호

1. 본 규정은 2012년 3월 5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9호

1. 본 규정은 2015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10호

1. 본 규정은 2016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11호

1. 본 규정은 2019년 1월 15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12호

1. 본 규정은 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논문 투고 요령

 

 

1. 원고모집 안내

- 논문 투고 전 아래의 첨부파일을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모집공고 첨부파일 참조)

1) 논문게재 신청서 및 저작권 확인서

2) 규정 및 원고작성법

3) 논문 작성양식(예시)

4) KCI 문헌 유사도 검사 결과 제출 안내

 

2. 투고 안내

- 투고 방법: 온라인 투고

 

- 제1저자 및 공동저자가 본 학회 회원(http://www.kcpmd.net/) 회원이 아니신 경우 회원 가입 이후 투고 가능

(본 학회 회원가입은 학회홈페이지http://www.kcpmd.net/ ‘회원 안내-회원 규정’ 참조)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의 투고료는 한국어 논문 편당 10만원, 영어 논문 편당 13만원이며, 게재가 확정시 게재료는 20만원(15쪽 기준이며 초과 시 한 장당 2만원의 과금이 적용됨), 연구비를 지원받아 사사(謝辭)로 표기하는 경우는 10만원이 추가로 부과.

 

- 논문 투고료 10만원을 다음의 계좌로 본인의 이름으로 입금한다.

입금계좌 : 농협 301-0207-6479-91 예금주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학회지 게재원고 작성법

 

 

1. 원고작성

1) 원고는 워드프로세서 “아래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2) 한글이나 영어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의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자로 표기하거나 ( )속에 원어를 쓴다.

3) 포인트 10, 줄간격 160, 15쪽 이내(참고문헌 포함)의 원고 작성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이보다 많을 수 있으나 최대 30쪽을 초과할 수 없다.

4) 원고 분량이 30쪽을 초과한 특별한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에서 그 게재여부를 결정한다.

 

<편집용지 규격 (A4)>

 

위 : 37

아래 : 37

왼쪽 : 37

오른쪽 : 37

머리말 : 13

꼬리말 : 9.5

제 본 : 0

 

 

5) 글자모양

제 목: 16p, 굴림, 진하게, 가운데

저자명: 1줄 띄고, 10.5p, 돋움, 진하게, 오른쪽

소속 및 직위: 9p, 바탕

요 약: 1줄 띄고, 9p, 바탕, 줄간격 130

검색어: 요약 밑에 <검색어>로 9p, 돋움

본 문: 10p, 자간 -5, 장평 98, 바탕, 줄간격 160

표 : 표제목은 10p, 굴림, 왼쪽, 출처는 9p, 표 하단 왼쪽에

참고문헌: 제목은 돋움, 13p, 진하게

내용은 9p, 바탕, 줄간격 130, 내어쓰기 30, 책이름은 돋움

부 록: 제목은 12p, 돋움, 진하게; 내용은 10p, 바탕

영문초록 : 영문제목 굴림, 13, 진하게, 저자명 돋움, 10.5, 내용 바탕 9p

Key words : 영문초록 밑에 돋움, 9p

 

 

2. 번호붙임

1단계 : Ⅰ, Ⅱ, Ⅲ, ....(2줄 띄고, 14p, 굴림, 진하게, 가운데)

2단계 : 1, 2, 3, ....(1줄 띄고, 1칸에서 시작, 12p, 돋움, 진하게)

3단계 : 1), 2), 3), ....(1줄 띄고, 2칸에서 시작, 10p, 바탕, 진하게)

4단계 : (1), (2), (3), ....(1줄 띄고, 2칸에서 시작, 9.5p, 돋움, 진하게)

5단계 : ①, ②, ③, ....(1줄 띄고, 2칸에서 시작, 10p, 바탕)

 

3. 인 용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부분의 아래 위를 한줄씩 띄우고, 2칸 들여 쓴다. 인용문은 바탕, 9p, 문단모양에서 왼쪽, 오른쪽 15p, 줄간격 160으로 작성한다.

 

4. 각 주

각주는 본문에 표기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에 한하여 사용한다.

 

5. 본문 내의 인용문헌

1) 본문의 간접인용은 다음 양식을 따른다.

(1) 이 문제에 대하여 홍길동(2013)은 .......

(2) 최근의 연구(홍길동, 2013; Peterson, 2012)에 의하면, ....

(3) ...... 효과적이라고 밝혔다(홍길동, 2013).

2) 직접 인용문에는 인용부호를 달고, 페이지를 표시한다.

(1) 홍길동(2013)에 의하면, “.......”(p. 123)

(2) 한 연구에 의하면, “.......”(홍길동, 2013, p. 123)

3) 저자는 모두 표시하되 저자가 3,4,5인의 경우 처음 인용 이후부터는 첫 번째 저자 다음에 ‘외’, 영문저자의 경우 첫 번째 저자의 성 다음에 'et al.'를 표기한다.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 첫 인용부터 ‘외’, ‘et al.’을 사용하여 출처를 표시한다.

(1) ...... (홍길동, 김철수, 이영희, 2018). ......., 홍길동 등(2018)이 .......

(2) 이 문제에 대하여 홍길동 등(2013)은 ......., Connors 등(2012)은 .......

(3) ...... 의미한다(홍길동 외, 2013; Connors et al., 2012)

 

6. 참고문헌 작성

1)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하여 논문의 말미에 알파벳순으로 제시한다.

2) 국내 참고문헌의 경우 참고문헌 표시법에 따라 영문과 국문을 병기한다.

3) 단행본과 논문의 제목은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표기한다. 단, 외국 단행본의 책명은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1) 단행본

① 국내 단행본 표기 예시

홍길동 (2012). 특수아동심리. 서울 : 특수교육출판사.

⇒ Hong, G. D. (2012). Exceptional child psychology. Seoul: Special Educational Publishers.

[홍길동 (2012). 특수아동심리. 서울: 특수교육출판사]

② 외국 단행본 표기 예시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uthor.

(2) 정기간행물

① 국내 정기간행물 표기 예시

홍길동, 김영길 (2012). 영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효과. 교육방법연구, 25(3), 1-28.

⇒ Hong, G. D., & Kim, Y. G. (2012). Effective par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ing Methods Research, 25(3), 1-28.

[홍길동, 김영길 (2012). 영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효과. 교육방법연구, 25(3), 1-28.]

② 외국 정기간행물 표기 예시

Casey, A. M., & McWilliam, R. A. (2011).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feedback interventions applied in early childhood setting.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31, 68-77.

(3) 학위논문

홍길동 (2013).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Hong, G. D. (2013).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 University.

[홍길동 (2013).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전자매체, URL 등 인터넷 간행물의 표기

① 인터넷에서 정보를 인출한 경우 자료 원천의 이름과 (혹은) 주소를 적은 후 인출한 날짜의 연월일을 구분하여 적고 “...에서 인출”이라고 적어 문장을 끝낸다. 반드시, URL 인출한 날짜를 기입한다.

A Survey of Available ADHD Medications for Children(by: Mayflor Markusic, edited by: Lenzi Hart, written updated: 6/30/2011). Retrieved on February 20, 2012,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brighthub.com/education/special/articles/1752.aspx.

② 인터넷의 비정기간행물 문서의 경우 날짜가 명기되지 않고 일반 기관에서 게시한 인터넷 문서가 여러 페이지로 구성되었을 때는 그 문서가 들어간 홈페이지(혹은 첫 화면)로 연결될 수 있는 URL을 적어주고 작성 일자가 없음을 “작성일 불명”(영어는 no date를 나타내는 n.d.로 표기)이라고 명시한다. 문서작성자를 확인할 수 없는 문서는 그 문서의 제목을 저작자명으로 간주하여 제시한다.

http://www.wssb.org(n.d.). Retrieved on April, 27, 2014, from the World Wide Web: http://students.wssb.wa.gov:84/moodle/mod/forum/discuss.php?d=634

 

③ 기타(온라인 포럼, 토론 및 온라인 상에서 읽은 일간지 기사 등)

김병한 (2014. 04. 03). 특수교육보조인력 인건비 뒷받침.

http://www.ccdailynews.com 에서 2014. 04. 28. 인출.

⇒ Kim, B. H. (2014.04.03). Supports for the personal expenses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Retrieved on April, 28, 2014,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ccdailynews.com.

[김병한 (2014.04.03). 특수교육보조인력 인건비 뒷받침. http://www.ccdailynews.com 에서 2014. 04. 28. 인출.]

 

4) 기타 언급되지 않은 작성방법은 APA 양식에 준한다.

 

7. 표와 그림

1) 표와 그림의 내용은 영문 작성을 원칙으로 하며, , [Fig. Ⅰ-1]과 같이 일련번호를 붙여 작성한다.

 

2) 표의 번호와 제목은 상단 왼쪽에 영문과 국문을 함께 제시한다.

3) 그림의 번호와 제목은 하단 중앙에 영문과 국문을 함께 제시한다.

 

 

<표 예시>

 

Reading comprehension test scores

 

<표 Ⅰ-1> 읽기이해력 검사 점수

 

Grade

Grade 2**

Grade 3**

Grade 4**

Grade 5**

HIC

HC

HIC

HC

HIC

HC

HIC

HC

Mean percentage scores (%)

48.4

92.5

50.7

83.8

51.9

90.6

51.1

78.0

SD

21.9

13.0

16.7

15.8

28.3

11.8

22.9

16.6

Percentage score

range (%)

0 –

88.9

33.3 –

100

25.0 –

88.0

25.0 –

100

0 –

100

50.0 –

100

0 –

88.9

11.1 –

100

 

** p<.01

 

<그림 예시>

[Fig. Ⅰ-1] Progress on Child’s Social Competence, Internalizing Problems, & Externalizing Problems

[그림 Ⅰ-1] 아동의 사회적 역량, 내면화 문제, 외현화 문제의 변화 추이

 

8. 논문초록

논문초록은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을 모두 첨부하되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한다.

1) 영문초록: 한글원고와 영문원고 모두 10줄 내외의 한 문단으로 된 논문요약을 원고의 첫 장에 배치한다. 즉 첫 장을 영문제목, 영문저자명과 소속 및 직위, 영문초록, 본문의 순으로 구성한다. 영문초록의 내용은 Purpose, Method, Results, Conclusion의 소제목에 맞추어 작성한다.

2) 국문초록: 1쪽 이내의 국문초록(한글제목, 한글 저자명, 소속, 직위 포함)을 논문 맨 마지막 장에 첨부한다. 국문초록의 내용은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의 소제목에 맞추어 작성한다.

3)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 이름 순(예; Hong, Kil-Dong)으로 제시한다.

4) 게재가 확정된 논문에 한해서 편집부가 저자에게 초록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특히 영문초록의 경우 편집부에서 학술교정번역 전문가에게 교정의뢰 후 원문을 수정하거나, 저자에게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9. 검색어

컴퓨터 검색을 위하여 초록(Abstract) 밑에 5단어 이내의 핵심어(Key words)를 달도록 한다.

 

10. 교신저자

첫 페이지 하단에 소속과 주소, 이메일을 각주 형태로 제시한다.